학회지

논문검색



pISSN : 1976-3522 ㅣ eISSN : 2713-8119

국악교육연구,, Vol.18 no.1 (2024)
pp.343~381

DOI : 10.31177/SSKME.2024.18.1.11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한국 근대음악사의 지도내용 연구

한영숙

(한양대학교 국악과 강사)

음악교과서의 한국 근대음악사는 음악에 관련된 시대적 배경과 특징 없이 내용도 극히 단편적으로 제시되어 있고, 음악기관과 공연문화에 관련해서 명칭만 소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연구자는 한국 근대음악사의 지도내용을 역사・문화적 맥락 속에서 음악의 특징 탐구, 음악기관과 교육기관의 탐구, 공연문화의 탐구, 대중과 소통하는 매체의 탐구로 선정하였다. 먼저 음악의 특징에서 궁중음악은 대한제국기까지 어느 정도 전승되었으나 일제강점기부 터 기악곡으로 연주되었다. 궁중음악과 정악을 통틀어서 아악으로 지칭하며, 정악은 풍류 음 악과 아악을 포함한다. 일제강점기에 종묘제례악과 문묘제례악을 제외한 나머지 제례는 폐지 되었다. 일제강점기부터 판소리와 창극은 쇠퇴하기 시작하였고, 극장에서 공연하는 형태로 바뀌었다. 산조는 가야금산조 외에 거문고와 대금 등 다른 악기들의 산조가 새롭게 나타났다. 음악기관은 교방사에서 이왕직아악부로 변천하며 악인의 숫자는 크게 감원되었는데, 전통음 악의 전승・보존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교육기관인 이왕직아악부원양성소는 장악원의 전 통을 계승하면서 조양구락부・조선정악전습소와 함께 정악의 전승에 비중을 두었다. 공연문화에서 음악기관의 악사와 교육기관에서 양성된 음악인은 정악을 연주하였고, 민속 악은 광대와 기생・사당패・잡가패 등이 참여하였다. 공연 양상은 초기에는 사당패의 놀이가 중심이 되었으며 사설극장이 설립되면서 극장 무대에서 국악 공연이 활성화되었고, 악・가・ 무에 해당하는 여러 곡이 연주되었다. 대중매체가 점차 활성화되었는데, 유성기음반의 발매 와 함께 신문에서 음악에 관한 기사는 대중들과 소통할 때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한국 근대시대에 나타나는 음악적인 변화와 특징을 정확하게 이해했을 때, 광복 이후를 거쳐 현재까지의 전통음악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가치가 정립되기 때문에 이 시대의 음악사 교육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A Study on the Teaching Contents of Korean Modern Music History under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Han, Young-Sook

In music textbooks, Korean modern music history is presented extremely fragmentarily without any historical background or characteristics related to music, and only the names of music institutions and performance culture are introduced. To address these issues, the researcher selected ’explo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exploration of music institution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exploration of performance culture’, and ’exploration of media in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as the teaching contents of Korean modern music history. First, as for musical characteristics, court music was passed down to some extent until the Korean Empire but was performed as instrumental music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ourt music and jeongak we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ak, and jeongak included pungryu music and aak.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ll other rituals except Jongmyo Jeryeak and Munmyo Jeryeak were abolished.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pansori and changgeuk began to decline and changed into a format of performing in theaters. Sanjo for other instruments such as geomungo and daegeum appeared in addition to gayageum sanjo. As the music institution changed from Gyobangsa(敎坊司) to Iwangjik Aakbu(李王職雅樂部), the number of musicians was greatly reduced, but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transmission and preservation of traditional music. Iwangjik Aakbuwon Training Center, an educational institution, inherited the tradition of Jangakwon(掌樂院) and placed emphasis on the transmission of jeongak along with ChoyangGurakbu(調陽俱樂部) and Joseon Jeongak Training Center. As for performance culture, musicians from music institutions and musicians trained at educational institutions played jeongak, while professional entertainers, gisaeng, sadangpae, and japgapae participated in folk music. In the beginning, the landscape of performance was centered on the play of the sadangpae, and with the establishment of private theaters,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became active on the theater stage, and several songs corresponding to ak-ga-mu(instrumental music, vocal music, and dance) were performed. Mass media gradually became active. With the release of phonographic records, newspaper articles about music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ommunicating with the public. When the musical changes and characteristics that emerge in Korea's modern era are accurately understood, the value of appropriately understanding traditional music from the post-liberation period to the present is established. For that reason, music history education in this era is absolutely necessary.

Download PDF list




 
[개인정보처리방침]
(06639) 서울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96 서울교육대학교 음악관 306호 / TEL. 02-3475-2486 / E-mail: sskme@hanmail.net
COPYRIGHT(C) 2007 The Society of Study for Korean Music Educ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