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논문검색



pISSN : 1976-3522 ㅣ eISSN : 2713-8119

국악교육연구,, Vol.16 no.1 (2022)
pp.131~159

DOI : 10.31177/SSKME.2022.16.1.05

현행 음악 교과서의 ‘범패’ 관련 내용 분석 및 교수ㆍ학습의 구성 방향

정미영

(부산대학교, 경북대학교 강사)

본 연구는 음악 교과서에 실린 범패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수정ㆍ보완할 사항을 중심으로 구성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범패가 실린 중ㆍ고등학교 교과서는 총 8종이었고 대부분 통일 신라 시대 단원에 수록되 어 있었다. 출판사마다 범패를 설명하는 분량과 난도가 달랐으며 4종의 출판사만 그 내용이 충실하였다. 악곡은 ‘특사가지’, ‘할향’, ‘화청’, ‘회심곡’ 등이 수록되어 있는데 악곡명과 악보 가 제대로 수록된 것은 3종에 불과하였고 악보와 음원이 일치하는 경우 역시 3종 밖에 없었 다. 또한 교과서의 사진 및 그림 자료로는 범패의 특징을 알기에 부족하였다. 차기 교과서 개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수정․보완하여 정확한 내용으로 수록되어야 한다.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교수ㆍ학습의 구성 방향을 제시하였다. ‘역사ㆍ문화적 배경과 특징 을 이해할 수 있는 학습 내용 제시’, ‘음악적 특징을 알 수 있는 악곡 및 악보 제시’, ‘가무악 통합 학습활동 제시’, ‘구체적인 사진 및 그림 자료 제시’ 등으로 구성하였다. 범패를 교육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교적 의식만을 강조하기보다는 사상과 문화적 측면에 서 접근해야 하며, 범패가 단순한 성악곡으로 취급되기보다 통합적 예술이라는 인식의 변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앞으로 다각적인 범패 교육연구가 이루어져 총체적 문화교육의 대표적 인 갈래로 자리매김하기 기대한다.

Analysis of the Contents Related to Beompae in the Current Music Textbooks and the Direction for Composing Teaching and Learning

Jeong, Mi-Young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ntents related to beompae in the current music textbooks and suggested a direction for composing what to be revised and supplemented. There are a total of eight types of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that contain beompae. Most of them are included in the unit of the Unified Silla period. Each publisher has a different amount of explanation and difficulty, and only the four publishers are substantial on the content. Teuksagaji, Halhyang, Hwacheong, and Hoisimgok are included as music pieces. Only the three types of textbooks properly include the title of the songs and the scores, and also there were only the three textbooks that match the scores and the digital music. The photos and drawings in the textbooks are insufficient to understand beompae's characteristics. In the next revision of textbooks, these problems should be corrected and supplemented, and accurate contents should be included. The direction for composing teaching and learning was suggested based on the analyzed contents. It is composed of ‘presenting learning contents to help understand the history and cultural background and traits’, ‘presenting music and scores that can represent musical traits’, ‘presenting learning activities of integrating ga-mu-ak’, and ‘presenting learning materials of specific photos and drawings.’ To make beompae applicable to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approach it from an ideological and cultural perspective rather than emphasizing the aspect of religious rituals. Also, instead of treating beompae as a single branch of vocal music, a change in the perception that it is an integrated art should be preceded. It is expected that multifaceted educational research on beompae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to be positioned as a representative branch of total cultural education.

Download PDF list




 
[개인정보처리방침]
(06639) 서울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96 서울교육대학교 음악관 306호 / TEL. 02-3475-2486 / E-mail: sskme@hanmail.net
COPYRIGHT(C) 2007 The Society of Study for Korean Music Educ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