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논문검색



pISSN : 1976-3522 ㅣ eISSN : 2713-8119

국악교육연구,, Vol.10 no.2 (2016)
pp.145~182

단소 교본 분석을 통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구수정

(한국교원대학교 음악교육전공 석사과정)

단소는 사람들이 처음 접하는 국악기이자 국악의 첫인상이다. 교육과정에서의 단소는 휴대성이 좋으며, 소리가 정서적으로 편안하고 길게 내뱉는 복식호흡을 사용하여 스스로를 조절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소리 내기가 어렵고 연습 과정에서 인내심이 필요한 부분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쉬운 소금(小芩)으로 대체되는 경향이 있지만, 여전히 단소는 국악의 입문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학교 교육에서 단소를 교육하면서 단소 연주가 가능하게 된 양적 인구는 늘어나게 되었지만, 정작 단소 연주 능력 향상에 관한 질적 발전으로의 연결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 이는 여러 이유가 있겠으나 그 중 교재의 중요성을 꼽을 수 있겠다. 학교 환경에서의 단소 교육 경험이 생활에서 이어지려면 교재의 접근성 및 각 수준에 맞는 단계별 교재 개발이 필연적이다. 본 연구는 먼저 해방 이후 단행본으로 출판된 단소 악보 및 단소 교재 중 44종을 이론과 악곡 분류 및 분석으로 나누어 살펴보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민요의 비율이 높은 단행본을 선정하여 음악적, 맥락적 관점에서 비교해 본 결과 이론적인 부분에서는 연주법 영역의 운지, 연주자세, 소리 내는 법, 입술모양은 대체적으로 잘 기술되어 있으나 호흡법에 관한 내용이 부실하였다. 학습방법에 있어서 대부분 악곡의 난이도를 통해 단계별 학습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교육과정 및 교과서 연계 부분에 있어서 7차 교육과정 이후 전래동요의 비중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악곡 분류 및 분석에 있어서 곡의 난이도에 따라 초, 중, 고급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민요 부분에 관해 고찰한 결과 경기민요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여 다른 지역 민요의 비율이 불균형적이다. 이 결과를 토대로 단계별 단소 교재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했으며, 아울러 민요의 구성 악곡이 지역별 골고루 배치, 합주의 활용, 평조단소와 개량단소의 교재 개발을 제안한다.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s for Developing Danso Teaching Materials through Analysis of Danso Textbooks

Ku, Su-Jung

The danso (short bamboo flute) is the very first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 that people encounter and thus the first impress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hen used in the curriculum, danso has many great advantages. It is very portable, has a tranquil tone, and helps one practice one’s self-control exercise through abdominal breathing, a deep, long breathing skill. Although it is being replaced with the sogeum because it is relatively difficult to make sounds and requires great patience during practice, danso still plays an important role as an introduction to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number of people who can play danso has increased since danso education became part of the school curriculum. However, there is room for reconsideration of whether there has been improvements in quality of danso performance. There are many reasons for this, but one of the main reasons is the importance of the textbook. For danso learning experience in a school environment to carry on into everyday life, the improvement of textbook approachability and development of textbooks for different performance levels are inevitable. This research first examines 44 textbooks out of the various danso music scores and textbooks published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by dividing them into theory, music classification and analysis. Then textbooks with a high ratio of folk songs were selected and compared in a musical, contextual setting.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section of performing techniques such as fingering, body positioning and how to make sounds and lip shape was generally well described, but there was an insufficient amount of contents as regards with breathing method. As for learning method, learning through different levels of difficulty was proposed, and as for curriculum and textbook connection, it was observed that there was a higher ratio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since the 7th Revised National Music Ceducational Curriculum. As for music classification and analysis, levels can be classified into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depending on the level of difficulty of music. What is noteworthy is that Kyonggi folk songs took up a high percentage, and, as a result, there is an imbalance in the weight put on various folk songs. Based on these observations, it is verified that developing danso textbooks for different levels is necessary. Moreover, we propose placing equal amounts of music from various geographic regions, utilizing ensembles and developing separate textbooks for pyeongjol danso and improved danso.

Download PDF list




 
[개인정보처리방침]
(06639) 서울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96 서울교육대학교 음악관 306호 / TEL. 02-3475-2486 / E-mail: sskme@hanmail.net
COPYRIGHT(C) 2007 The Society of Study for Korean Music Educ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