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논문검색



pISSN : 1976-3522 ㅣ eISSN : 2713-8119

국악교육연구,, Vol.12 no.2 (2018)
pp.27~48

DOI : 10.31177/SSKME.2018.12.2.02

특수학교의 국악교육 내용 고찰 및 지도방안 연구 - 기본 교육과정 5~6학년 중심으로 -

박혜영

(단국대학교 국악학과 박사과정)

본 논문은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5~6학년 음악교과의 국악교육 내용을 고찰하고 국악교육 지도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특수학교에서의 음악교과 국악내용을 살펴보고, 국악내용의 적합성을 살펴보았으며,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5~6학년 특수아동을 위한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의 기본교과 5~6학년 음악교과서에 제시된 국악곡을 살펴본 결과, 2권의 책으로 이루어져 있는 5~6학년 음악교과서는, 각각 9개의 총 18단원으로 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단원에서 국악 제재곡이 포함되어 있었다. 국악만을 중점적으로 다룬 단원은 2개의 단원으로 4단원의 ‘덩덕쿵 덩덕쿵’과 13단원의 ‘빛나는 우리 가락’이 이에 해당한다. 총 55개의 제재곡 중 국악 제재곡은 약 1/3인 19곡이다. 둘째, 국악 제재곡을 살펴본 결과 언어적․신체적․정서적으로 서로 다른 여러 장애를 가진 아동들이 사용한다는 점에서 제재곡에 따른 활동의 부적절성, 활동의 단순성, 특수아동의 특성과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활동자료의 문제, 이해 중심의 국악내용 구성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수아동에게 좀 더 효과적인 제재곡을 다양한 활동으로 제시하고, 특성과 환경을 고려한 활동자료가 제공되어야 하며,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는 여러 방법이 제시되어야 하며, 교사와 또래집단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활동이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5~6학년 특수아동의 지도방안을 위한 소재로 국악동화, 놀이, 전통미술을 선정하였으며, 이 소재를 활용하기 위한 활동으로 악기 탐색하기, 장단 배우기, 노래 부르기를 선정하였다. 본고에서는 장애유형에 따른 지도안을 제시하지 못하였으나 앞으로 장애 유형에 따른 지도방안 연구를 통해 특수학교에서 국악교육이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바란다.

A Study on the Contents and Teaching Plan of Korean Music Education in Special Schools - Focused on the Basic Curriculum for Fifth and Sixth Grades -

Park, Hye-Young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nts of Korean music education in the 5th and 6th grade music curriculum of special schools and to suggest a teaching method of Korean music education. For this, it examined the suitability of the contents of Korean music education and presented a teaching plan for the 5th and 6th grade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school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t the result of examination of pieces of Korean music in the fifth and sixth grade music textbooks in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schools,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 of music used two books with nine units for each book and only the two units, ‘Deongdeokung Deongdeokung’ in unit 4 and ‘Binnaneun Uri Garak’ in unit 13, focused on Korean music. The number of Korean music pieces for in-class use was 19, about a third of the total of 55 pieces. Secondly, considering that learning activities were used for individuals with a variety of different disabilities, linguistically, physically and emotionally, it was found that the activities in the textbooks were inappropriate for different needs, too simplistic, not responsive to the traits and circumstance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generally focused on understanding concepts. To solve these problems, learning materials should include more effective musical pieces with various activities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consider the traits and circumstances of the children. In addition, learning activities should suggest many different ways to help students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and promote an interaction with teachers and peer groups. Thirdly, stories with Korean music, games, and traditional arts were selected as teaching material for the 5th and 6th grade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schools. Exploring musical instruments, learning rhythmic patterns, and singing were selected as learning activities in line with this materials. The current study did not suggest a teaching plan responding to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and also did not have a stage of application in the actual educational arena. It is expected that further studies on teaching methods for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will continue to be active in the future.

Download PDF list




 
[개인정보처리방침]
(06639) 서울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96 서울교육대학교 음악관 306호 / TEL. 02-3475-2486 / E-mail: sskme@hanmail.net
COPYRIGHT(C) 2007 The Society of Study for Korean Music Educ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