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논문검색



pISSN : 1976-3522 ㅣ eISSN : 2713-8119

국악교육연구,, Vol.12 no.1 (2018)
pp.29~57

국악과 인도 음악의 비교 교수ㆍ학습 방안

김아현

(대전상대초등학교 교사)

본고에서는 국악과 인도 음악의 비교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등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인도 음악 내용을 분석하여 지도내용과 서술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제재곡에는 ‘달아 달아’와 ‘디왈리 노래’가 있었으며, 이 곡들은 사회․문화적 맥락 없이 서양식 어법으로 기보하여 인도 음악의 특징을 파악할 수 없었다. 둘째, 국악과 인도 음악의 비교학습을 위한 주제 및 지도 단계를 선정한 다음 주제에 맞는 인도 음악과 국악 제재곡 및 지도 내용을 알아보았다. 선정된 주제는 일과 음악, 문화유산과 음악이고, 비교학습을 위한 단계는 ‘감(感)-느끼기, 흥(興)-표현하기, 통(通)-비교하기’이다. 인도 음악의 제재곡은 ‘사리간(sari-gan)’과 ‘푸룰리아 차우(Purulia Chhau)’를 선정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우리 음악의 제재곡은 ‘거문도 뱃노래’와 ‘봉산탈춤’으로 정하였고, 두 제재곡 간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셋째,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관련 내용을 추출하고 학교군별로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초등학교군에서는 일과 음악이라는 주제에 의해 사리간(sari-gan)과 거문도 뱃노래를 단계에 따라 교수․학습을 전개하였다. 중학교군에서는 문화유산과 음악이라는 주제에 따라 푸룰리아 차우(Purulia Chhau)와 봉산탈춤을 단계에 맞춰 교수․학습을 제시하였다. 본고는 아시아 음악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인도 음악의 교수․학습 방안이자 우리 음악 문화를 이해하는 방법이다. 이를 일반화하고 더 나아가 초․중학교에서 아시아 음악에 대한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많은 연구가 계속 되길 바란다.

A Comparative Education Plan for Korean Music and Indian Music

Kim, A-Hyun

This paper aims to examine a comparative teaching and learning of Korean music and Indian music.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ntents of Indian music included in the music textbook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accordance with the 2009 revised music curriculum, are analyzed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instructional content and its descriptions. There are music pieces titled ‘Dal-a Dal-a’ and ‘Diwali Song’. These songs are notated in the grammar of Western music without taking a socio-cultural context, so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Indian music. Secondly, themes and instructional stages which enable connecting Korean music with Indian music are selected. Afterwards, music pieces of Indian and Korean music and instructional contents suitable for the themes are examined. The selected themes are work and music, and cultural heritage and music. The instructional stages for comparative education with Korean music are ‘gam(感)’-to feel, ‘heung(興)’-to express, and ‘tong(通)’-to compare. As instructional materials, sari-gan and Purulia Chhau are selected for Indian music while Geomundo Baennorae and Bongsantalchum are correspondingly selected for Korean music.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pieces are compared. Thirdly, the contents of Indian music under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re extracted, and a teaching-learning method for Indian music through comparative education with Korean music is presented for each school category. For elementary school level, the instruction of sari-gan and Geomundo Baennorae is presented on the theme of work and music depending on instructional stages for comparative education. For middle school level, the instruction of Purulia Chhau and Bongsantalchum is presented on the theme of cultural heritage and music depending on instructional stages. This paper provides a teaching-learning method for Indian music and one of ways to understand Korean music and culture. It is expected that a great deal of research is consistently carried out to generalize this and further provides diverse musical experiences of Asian music 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Download PDF list




 
[개인정보처리방침]
(06639) 서울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96 서울교육대학교 음악관 306호 / TEL. 02-3475-2486 / E-mail: sskme@hanmail.net
COPYRIGHT(C) 2007 The Society of Study for Korean Music Educ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