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논문검색



pISSN : 1976-3522 ㅣ eISSN : 2713-8119

국악교육연구,, Vol.11 no.2 (2017)
pp.231~253

음악교과서의 풍류음악 수록 양상 및 지도방향 모색

한영숙

(전남대학교 강사)

풍류음악은 초․중등 음악교과서의 감상영역에 대표적으로 수록되는 악곡 중의 하나이다. 본고에서는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풍류음악 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살펴보고, 풍류음악의 올바른 지도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풍류음악의 지도내용을 살펴본 결과, 초등학교 3~4학년군 음악교과서에는 전혀 수록되지 않았고, 5~6학년군 및 중학교 음악교과서에서는 풍류음악을 간략하게 다루었으나 일부 개념을 잘못 제시하거나 범주를 설정함에 있어 오류가 있다. 풍류음악의 관련 내용이 극히 단편적으로 수록되어 있기 때문에 내재된 역사․문화적 맥락과 문화적 가치 등을 폭넓게 지도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에 다음의 네 가지 측면에서 풍류음악의 지도방향을 설정해 보았다. 첫째, 역사적 맥락에 기초하여 풍류음악은 풍류객들이 풍류방에 모여서 연주하고 즐겼던 음악임을 알고, 풍류객들이 인격 수양, 즉 자신의 정서를 순화하기 위하여 연주한 음악이었음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둘째, 풍류음악의 범주는 원래 기악곡에 영산회상과 천년만세가 해당하고, 성악곡에는 가곡․시조․가사가 포함된다. 근래에 악기편성의 맥락에서 현악기가 중심이 되는 줄풍류와 관악기가 중심이 되는 대풍류로 구분한다는 것에 유의하여 지도해야 하며, 간혹 악곡명으로 쓰이는 경우 영산회상을 보통 줄풍류라고 한다. 사용 용도에 따라서 동일한 악기편성이지만 무용반주인 삼현육각에 비해 감상 위주의 기악곡으로 연주될 때, 대풍류라고 부른다. 또한 지영희가 계승한 ‘대풍류 한바탕’에서 대풍류라는 명칭이 하나의 악곡명으로 자리매김하였는데, 기악곡이나 일부 무용 반주음악에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풍류음악과 관련이 있는 고악보와 가집을 통해서 선비들이 가장 즐겨 연주했던 악기는 거문고이며, 영산회상과 가곡을 즐겨 연주하였음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넷째, 영산회상과 가곡은 오랜 세월 동안 보존․전승되었고, 예술적으로 높은 가치가 있음을 이해함으로써 풍류음악의 문화적 가치를 인식하도록 해야 한다. 풍류음악의 교수․학습은 음악교과서에 명확한 개념 제시와 적절한 악곡 수록, 그리고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와 문화적 가치 인식에 관한 활동이 수록될 때 올바른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풍류음악의 역사․문화적 맥락에서 악곡을 이해시키고,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하는 방향으로 지도내용을 구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

Exploring the Instructional Approaches and Aspects of Pungryu Music Included in Music Textbooks

Han, Young-Sook

Pungryu music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repertoires for appreciation in music textbooks. This study aims to find a desirable educational approach to Pungryu music by examining the contents relevant to Pungryu music in music textbooks. The examination of the Pungryu music in the textbooks revealed that the music was included in none of music textbooks for 3th and 4th grade and only short description of the music was introduced in textbooks for 5th and 6th grade. In addition, errors were identified in defining some concepts and setting categories, so it was believed that there was a limit to extensively teach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and cultural values inherent in Pungryu music. For this, the instructional approaches for Pungryu music were set in the following four aspects. Firstly, based on the historical context, the focus of the educational approaches should be on the fact that Pungryu music is a type of music that Pungryugaek played and enjoyed in pungryubang and it was meant for building their personalities and characters, in other words, musical performance for refining their emotions. Secondly, in the original category of Pungryu music, Yeongsanhoesan and Cheonnyeonmanse belong to instrumental music while gagok, gasa, and sijo belong to vocal music. However, students should be instructed to note that in a recent orchestration context, the string instrument-oriented Pungryu (julpugnryu) is separate from the wind instrument oriented-Pungryu (daepugnryu). When used as the title of a song, Yeongsanhoesang is often referred to as julpugnryu. It is the same orchestration with samhyunyukgak for the accompaniment of Korean dance, but when being played as instrumental music on the purpose of appreciation, it is called daepugnryu. In addition, students should be instructed to understand that Daepungryu., as a title of music, originated from Daepungryu hanbatang succeeded by Ji, Young-hee and it is used in instrumental music and some dance accompaniment music. Thirdly, through ancient scores and collections of poems related to Pungryu music, students should be instructed to understand that seonbi enjoyed playing Yeongsanhoesang and gagok on the goemungo. Fourthly, the cultural values of Pungryu music should be recognized by making students understand that Yeongsanhoesang and gagok, inherited and preserv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re work of great artistic value. Teaching Pungryu music can be completed with the accurate presentation of concepts, the inclusion of appropriate repertories, various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the inclusion of class activities for the recognition of cultural values of the music. Thus, it is necessary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Pungryu music in a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and design lesson plans with various teaching-learning materials.

Download PDF list




 
[개인정보처리방침]
(06639) 서울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96 서울교육대학교 음악관 306호 / TEL. 02-3475-2486 / E-mail: sskme@hanmail.net
COPYRIGHT(C) 2007 The Society of Study for Korean Music Educ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