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논문검색



pISSN : 1976-3522 ㅣ eISSN : 2713-8119

국악교육연구,, Vol.11 no.2 (2017)
pp.69~91

시각장애학교 학생을 위한 국악치료 실태 연구 - 음악교사 설문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김은주

(전북대학교 한국음악과 박사과정)

시각장애학교 음악교사는 여러 학년을 담당하고 있고, 교사 1명이 시각장애학생들의 다양한 장애상태, 요구, 수준 등을 동시에 고려하며 수업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학습현장을 유지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국악 수업이 개입된 음악치료 활동이 필요하다. 본 연구 목적은 시각장애학교에서 국악 수업 시간에 국악치료 활동과 관련된 학교 실태를 파악하여 국악치료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악치료 상황을 점검 가능토록 설문 문항을 제작하여 전국 시각장애학교 음악교사 12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12명에게 회수 받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학교는 국악치료 활동이 가능한 여건과 분위기가 조성되어 있다. 국악치료 활동이 이루어지는 장소, 학교 소유 국악기 사용 유무, 음악교사 악기 연주 능력 상황, 시각장애학생과 시각중복장애학생 구성 비율 집계 결과 절반 이상의 학생이 시각중복장애학생임을 나타내며 이들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국악치료에서 음악 경험은 발달 측면 중 사회성과 관련이 높다. 국악치료 경험 유형은 재창조, 즉흥, 창작, 감상, 통합 활동으로 나누어 구성되고, 신체․인지․건강․사회․언어 영역 중 사회 영역에 가장 많은 효과를 본다고 한다. 셋째, 국악치료를 통해 음악 외적으로 변화된 점은 심리학에 근거를 둘 수 있다. 국악치료를 통한 학생들의 음악 외적인 변화 상태를 의학적․행동주의적․정신 역동적, 인본주의적 측면으로 각 심리학적 특징과 관련하여 학생 변화 상황을 알 수 있다. 넷째, 국악치료 활동은 시각장애학생의 정서 향상을 위해 필요하다. 학생에게 가장 이바지할 수 있는 부분은 정서적 영역이 압도적으로 우세했다. 학생의 우울한 정서와 사회성 부문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보이도록 정서 교감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각장애학교 국악치료 여건과 실태, 국악치료 경험 및 음악 외적 변화, 국악치료 활성화 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시각장애학교 음악 교사 역할을 알아보고, 교사 의견을 통해 국악치료 활성화를 위해 고민하는 계기가 되었다. 국악치료 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국내 12개 시각장애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의 설문을 유도하여 국악치료 활성화를 위한 양질의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Music Therapy for Students of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Schools-Focused on Analyzing the Questionnaire for Music Teachers-

Kim, Eun-Ju

Music teachers of schools for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are responsible for several grades, and only one music teacher carries out class activities, considering the various disabilities, needs, and levels of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at the same time. Becaus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such a learning site, music therapy activities involving Korean music lessons are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current status of schools for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related to music therapy activities during Korean music classes and promote the activation of Korean music therapy based on experiences of Korean music therapy and non-musical changes in musical therapy. For this, a questionnaire designed to examine the status of Korean music therapy was made and distributed to 12 music teachers at school for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and 12 teachers were respond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schools for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have a learning environment that makes Korean music therapy possible. After examining places for Korean music therapy activities, availability of school owned musical instruments, music teachers‘ performance abilities, a ratio of students with the visual impairment and students with the visual impairment and additional disabilities, it was found that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were visually impaired with additional disabilities and needed extra learning support. Secondly, musical experiences in Korean music therapy are highly related to sociality in terms of developmental aspects. The types of experien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rapy are divided into recreation, improvisation, creation, appreciation, and integrated activities, and they are most effective in the social area of body, cognition, health, society and language. Thirdly, non-musical changes through Korean music therapy can be grounded in psychology. Students are able to understand the change situation of students music through Korean traditional music therapy with respect to each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by medical, behavioral, psycho-dynamic and humanistic aspect. Fourthly, Korean music therapy activities are necessary for the emotional cultivation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The emotional area is overwhelmingly dominant in significantly contributing to students. Emotional empathy is needed to show positive changes in student’s depressed emotions and sociability. The study examined the current condition and status of Korean music therapy, experiences of Korean music therapy, non-musical changes, and measures for the activation of Korean music therapy. It offers a chance to investigate the role of music teachers at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schools and to consider the exchange of teachers’ opinions to vitalize Korean music therapy. In order to continuously develop Korean music therapy activities at schools for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it is necessary to perform high-quality follow-up research for the activation of Korean music therapy that works on a questionnaire for students who are currently attending at the twelve schools for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in Korea.

Download PDF list




 
[개인정보처리방침]
(06639) 서울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96 서울교육대학교 음악관 306호 / TEL. 02-3475-2486 / E-mail: sskme@hanmail.net
COPYRIGHT(C) 2007 The Society of Study for Korean Music Educ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