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논문검색



pISSN : 1976-3522 ㅣ eISSN : 2713-8119

국악교육연구,, Vol.18 no.1 (2024)
pp.87~112

DOI : 10.31177/SSKME.2024.18.1.04

초등학교 음악 문화유산교육 실태 분석 연구

박주만

(경기 장천초등학교 교사)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음악 문화유산교육에 관한 인식과 교육실태 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초등학교 음악 문화유산교육으로의 국악교육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 는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 문화유산교육의 필요성은 대체로 강하게 느끼고 있었으나, 교사 개인의 관심도 는 보통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영 시간은 음악 교과, 교과 연계수업, 창체, 현장체 험 등에 적용하였고, 지도한 학습방법은 감상, 지식 및 이론, 생활화, 체험학습 등으로 확인되 었다. 셋째, 수업의 어려움으로는 관련 정보 부족, 콘텐츠 부족, 프로그램의 어려움, 학생들의 관심과 참여 부족, 전문예술가 섭외 어려움, 운영 예산 부족 등이 제시되었고, 가장 효과적인 수업 운영 방법으로는 현장 체험학습, 교과 관련 수업, 창체, 방과후 수업 순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관련 교육을 위해 시급히 필요한 사항으로는 학습자료 지원,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중 확대, 수업 방법의 다양화, 관리자와 교사의 관심, 예술강사의 지원, 관련 예산지원 등의 의견 이 제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학생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창의 예술 중심의 음악 문화유산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자기 고장의 음악 문화유산에 대한 이 해와 탐구가 먼저 이루어져야 하며, 지역 문화예술 학습공간의 확대가 요구된다. 셋째, 음악 문화유산교육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예술인력의 학교강사 지원 및 전문 교육공간 조성이 필요하다. 다섯째, 교사들의 국악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관심과 관련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설이 필요하다.

A Study on the Actual Status of Music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Park, Joo-M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educational status of music cultural heritage educ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xplore ways to revitaliz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music culture heritag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hrough that. The conclusions drawn from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strongly felt the necessity of music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general, but individual teachers’ interest was at a moderate level. Second, the curriculum allocated time for the music subject, subject-linked classes,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field experiences,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dopted were appreciation-oriented learning, knowledge and theory learning, integration into daily life learning, and experiential learning. Third, challenges faced during classes comprised lack of relevant information, lack of contents, program’s difficulties, lack of stu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difficulties in recruiting professional artists, and shortage of operating budget. The most effective methods for class operation were experiential learning in the field, subject-related classes,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after-school classes in order. Fourth, opinions were voiced on urgent needs for related education, such as support for learning materials, expansion of the curriculum and textbook proportions, diversification of teaching methods, increased interest from administrators and teachers, support for art instructors, and support for related budgets. Based on this, plans for revitalizing education are as follow. First, it is crucial to provide music cultural heritage education, focusing on creative arts to evoke students' emotions. Second, priority should be given to understanding and exploring one's local musical cultural heritage, alongside the expansion of local culture and arts learning spaces. Third, there is a need to develop various contents for music cultural heritage education. Fourth, supporting school instructors as art personnel and establishing specialized educational spaces are necessary. Fifth, various teacher training programs should be established to enhance teachers' interest and expertise in Korean traditional music'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ownload PDF list




 
[개인정보처리방침]
(06639) 서울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96 서울교육대학교 음악관 306호 / TEL. 02-3475-2486 / E-mail: sskme@hanmail.net
COPYRIGHT(C) 2007 The Society of Study for Korean Music Educ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