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논문검색



pISSN : 1976-3522 ㅣ eISSN : 2713-8119

국악교육연구,, Vol.17 no.1 (2023)
pp.233~268

DOI : 10.31177/SSKME.2023.17.1.08

노동요에서 나타난 문화적 공동체 역량 구현 양상 분석 -5~6학년 음악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지수

(서울대학교 음악교육과 박사과정)

본 연구는 초등학교 5~6학년 음악 교과서의 노동요 제재곡을 중심으로 문화적 공동체 역 량 구현 양상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초등학교 5~6학년 음악 교과서의 노동요 37곡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기준은 문화적 공동체 역량의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 수용, 참여 영역으로 나누었으며, 역량의 하위요소와 학술 문헌을 참고하여 영역별로 4~5개의 세부 기준을 선정하였다. 교과서 분석 결과를 토대 로 역량 구현 양상을 다각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영역별 역량 분포, 세부 기준별 역량 분포, 교수ㆍ학습 활동 구현 방식으로 결과를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를 해석하여 음악 교과서에서 문화적 공동체 역량의 실행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문화적 공동체 역량 이해를 위한 다양한 방 식의 학습 활동을 제안해야 한다. 둘째, 전통문화의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반성적 성찰이 이 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셋째, 음악교육에서 제시할 수 있는 공동체 참여 방안을 적극적으로 논의해야 한다. 넷째, 문화적 공동체 역량을 이해하고 수용ㆍ참여하도록 하는 포괄적인 교수 ㆍ학습 활동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과 교육과정상에서 구체적인 공동체 역량 의 하위요소를 보여주어야 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학생들의 문화적 공동체 역량 강화를 위한 교과서의 활동 구현 양상을 분석하고 2022 개정 교육과정 시행에 발맞춰 새로 제작할 교과서의 개발 방향을 논의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음악교육을 통해 앞으로 학생들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핵심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여러 집단의 문화가 공존하는 현 사회의 흐름에 발맞춰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며 공동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음악적인 역량 구현 방식을 다양 하게 변화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Analysis of the Implementation Patterns of Cultural Community Competency in Labor Songs -Focusing on music textbooks for 5th and 6th graders-

Han, Ji-S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lementation patterns of cultural community competency, focusing on labor songs in music textbooks for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o this end, 37 labor songs in music textbooks for the grades based on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were analyzed. The analysis criteria were divided into areas of understanding, acceptance, and participation, centering on the meaning of cultural community competency. Then, four to five detailed criteria were selected for each area by referring to the sub-elements of the competency and academic literature. To take a multifaceted look at the implementation patterns of the competency, the analysis results were summarized into competency distribution by area, competency distribution by detailed criteria, and methods of implementing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order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cultural community competencies in music textbooks through by interpreting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presented. Through interpreting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presented to increase the feasibility of cultural community competency in music textbooks. First, it is necessary to propose various ways of learning activities to understand cultural community competency competencies. Second, reflective introspective reflection on the value and importance of traditional culture should be made. Third, it is essential to actively discuss ways to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that can be suggested in music education. Fourth, it is indispensable to seek comprehensiv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o understand, accept, and participate in cultural community competency competencies. Finally, it is required to show the sub-elements of specific cultural community competency competencies in the curriculu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implementation of activities in textbooks to strengthen students' cultural community competency capabilities and discusses a development direction of newly produced textbooks future development plans in line with the 2022 revised new curriculum revision in 2022. For students to cultivate core competencies necessary for future life through music education, diversification of implementing musical competency should be made in which students understand and accept various cultures in line with the trend of the current society where the cultures of different groups coexist an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Download PDF list




 
[개인정보처리방침]
(06639) 서울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96 서울교육대학교 음악관 306호 / TEL. 02-3475-2486 / E-mail: sskme@hanmail.net
COPYRIGHT(C) 2007 The Society of Study for Korean Music Educ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