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논문검색



pISSN : 1976-3522 ㅣ eISSN : 2713-8119

국악교육연구,, Vol.17 no.1 (2023)
pp.5~33

DOI : 10.31177/SSKME.2023.17.1.01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반영한 서도민요 제재곡 선정 및 지도방안 제시

이성초

(한국교원대학교 음악교육과 조교수)

서도민요는 타 지역의 민요에 비해 초ㆍ중ㆍ고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횟수 및 악곡의 종류 가 적은 편에 속한다. 2015 개정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도 <몽금포타령>, <자진아리>, <수 심가>, <엮음수심가>, <해주아리랑>의 5곡만 수록되어 있으며, 이 중 <몽금포타령>, <수심 가>, <해주 아리랑>은 중학교 음악 교과서에도 수록된 악곡이다. 즉 현재 교과서에 수록된 서도민요 제재곡이 한정적이며, 다양한 서도민요 제재곡의 개발이 요구되는 지점이다. 한편, 얼마 전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이 발표되었으며, 앞으로 2022 개정에 따라 음악 교과서 가 집필될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체계 및 성취 기준과 음악 요소를 반영하여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할 서도민요로 <긴난봉가>와 <자 진난봉가>, <사설난봉가>를 선정하고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긴난봉가>와 <자진난봉가>, <사설난봉가>는 황해도 지역의 대표적인 민요로, 장단, 장단 의 세, 한배의 변화, 난봉가토리, 엮음형식 등 고등학교 수준의 음악 요소 및 개념 체계를 설명하기 적절하며, 규칙적인 장단과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준에서 연주, 감상, 창작 영역에서 다양한 활동이 용이하다. 연주 영역에서는 <긴난봉가>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하기, 신체 표현하기 등의 지도방안을 제시하였고, 감상 영역에서는 <긴난봉가>, <자진난봉가>, <사설난봉가>의 감상을 통해 엮음 형식과 한배에 따른 형식을 구분하고, 한배의 개념을 명확히 할 것을 제시하였으며, 창작 영 역에서는 자진타령장단을 활용하여 말장단 만들기, <자진난봉가>의 후렴구 선율을 4도 위로 이조하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자진난봉가>의 반주선율 만들기의 지도방안을 제시하 였다. 제재곡의 악보는 가락선 악보를 활용하고 손시김의 신체 표현 활동을 통해 시김새를 표현하고, 악기 연주하기는 구음법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A Study on the Selection of Seodo Folk Songs for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he Suggestion of Teaching Plans Reflected in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Lee, Sung-Cho

Seodo folk songs are includ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xtbooks in fewer frequencies and types of pieces, compared to folk songs from other regions. There are only five songs , , , , and in high school music textbooks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urrently, Seodo folk songs included in textbooks are limited, and it is when the development of various Seodo folk songs for instructional materials is needed.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was recently announced, and music textbooks will be written according to the 2022 revision. Reflecting the content and achievement standards, and music elements presented in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this study selected , , and to be included in high school music textbooks and suggested teaching plans. , , and , representative folk songs of the Hwanghae province, are appropriate for explaining musical elements and concepts at the high schools level such as jangdan, se(accent) of jangdan, change of hanbae(tempo), nanbongga tori and the form of yeokeum(an extended form by densely-woven lyrics). They are also composed of regular jangdan and a call-and-response form, allowing for a variety of activities in the areas of performance, appreciation, and creation at the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Teaching plans such as singing Gin-nanbongga,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nd expressing with the body were suggested in the performance area. Through listening to , , and , distinguishing the form of yeokeum from the form of hanbae and clarifying the concept of hanbae were suggested in the area of appreciation. Making words-jangdan on the Jajin-taryeong jangdan, transposing the refrain melody of up four degrees, and composing an accompaniment melody of by using an application were suggested in the area of creation. It is effective to use the garakseonbo(melodic contour notation) for classroom music scores, to manifest sigimsae(musical ornaments) through the bodily expression activities of hand-sigim, and use gueum for playing instruments.

Download PDF list




 
[개인정보처리방침]
(06639) 서울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96 서울교육대학교 음악관 306호 / TEL. 02-3475-2486 / E-mail: sskme@hanmail.net
COPYRIGHT(C) 2007 The Society of Study for Korean Music Educ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