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논문검색



pISSN : 1976-3522 ㅣ eISSN : 2713-8119

국악교육연구,, Vol.16 no.2 (2022)
pp.119~141

DOI : 10.31177/SSKME.2022.16.2.05

영천 명주농악의 음악문화적 가치

박소현

(영남대학교 음악과 교수)

정모희

(영남대학교 음악과 객원교수)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명주리에서 전승되고 있는 ‘명주농악’은 학계에서 논급되지 못하 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명주농악의 근원과 전승 계보를 추적하고, 현재 영천문화원의 지 지로서 복원된 연행물의 연행과 음악적 특징을 조명하여 명주농악의 음악문화적 가치를 고 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명주농악의 유래를 소급하기 위한 마을의 유물유적과 함께 역사적 고증이 필요하지 만, 명주농악이 정월달에 한 해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림과 동시에 마을의 안녕과 풍농을 기 원하는 ‘대보름 굿’에서 유래하였다는 점에서 충분히 근원을 소급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둘째, 명주농악은 전승과 계보에 대한 충실한 기록 보존이 다소 미흡하지만, 영천시를 대표 하는 음악 문화이자 민속놀이로 풍부한 가치가 있다. 셋째, 명주농악의 판제 구성은 당제로 부터 시작되어, 한해 농사의 일련의 과정을 포함한 전형적인 ‘두레농악’으로 지방 문화재로서 의 보존과 전승의 가치가 있다. 넷째, 명주농악은 음악적으로 ‘질쇠[질굿가락]’, ‘탈쇠[자진모 리]’, ‘춤쇠[굿거리]’ 등의 독특한 민속어휘가 쇠가락의 명칭으로 전승되어 다른 지역과 변별 되는 특이점이 있다. 명주농악의 연행은 경상북도 동남부 지역권 농악의 전형적 특징이 있다. 당굿의 전통에서 부터 비롯된 명주농악의 판제와 음악적 내용을 보았을 때 전통적인 농경사회에서의 전통성 과 향토성이 돋보인다. 이처럼 명주농악을 통해 전통 농경사회의 삶과 문화적 모습을 함께 엿볼 수 있음은 명주농악이 가진 전통 문화유산으로서의 소중한 가치이다.

The Musical and Cultural value of Yeongcheon Myeongju Nongak

Park, So-Hyun

Jung, Mo-Hee

‘Myeongju Nongak’, which is handed down in Myeongju-ri, Bukan-myeon, Yeongcheon-si, Gyeongsangbuk-do, has not been discussed in academi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usical and cultural value of Myeongju Nongak by tracing its origin and transmission genealogy and by illuminating its performance and musical characteristics restored with the support of the Yeongcheon Cultural Center. The finding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trace the origin of Myeongju Nongak, it is necessary to conduct historical research along with the relics of the village. However, there is enough room to trace its origins in that Myeongju Nongak originated from ‘Daeboreum Gut,’ which not only announces the full-fledged start of the year on the first month of the lunar year but also prays for the well-being and prosperity of the village. Second, Myeongju Nongak, as a music culture and a folk play that represents Yeongcheon-si, has excellent value, although the preservation of records of its transmission and genealogy is somewhat insufficient. Third, Myeongju Nongak is a typical ‘Dure Nongak’ that includes a series of annual agricultural processes, starting from Dangje, and has value for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as a local cultural property. Fourth, Myeongju Nongak has a singularity that distinguishes it from other regions as unique folk music terminology such as ‘jilsoe [jilgutgarak]’, ‘talsoe [jajinmori]’, and ‘chumsoe [gutgeori]’ are handed down as the names of soegarak. Myeongju Nongak has a typical feature of Nongak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Gyeongsangbuk-do. When looking at the composition and musical content of Myeongju Nongak originated from the tradition of Danggut(shamanic shrine rituals), the tradition and locality in the traditional agricultural society stand out. The fact that Myeongju Nongak can give a glimpse into the life and culture of the traditional agricultural society is a precious value as a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of Myeongju Nongak.

Download PDF list




 
[개인정보처리방침]
(06639) 서울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96 서울교육대학교 음악관 306호 / TEL. 02-3475-2486 / E-mail: sskme@hanmail.net
COPYRIGHT(C) 2007 The Society of Study for Korean Music Educ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