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논문검색



pISSN : 1976-3522 ㅣ eISSN : 2713-8119

국악교육연구,, Vol.15 no.2 (2021)
pp.255~289

DOI : 10.31177/SSKME.2021.15.2.09

조선 후기 수파형(水波形) 악보의 전승 양상과 음악 교육적 효용성

조은숙

(서울은정초등학교 교사)

본 연구는 조선 후기 및 20C 중반 전문 국악인의 수파형 악보의 전승 양상을 고찰하고, 현행 초ㆍ중등 음악교육 현장에서 활용되는 가락선보의 영역별 수록 양상을 분석한 후 음악 교육의 도구로서 수파형 기보 체계의 효용성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수파형 악보는 조선 후기 식자층이 가곡의 기악 반주 선율 기록 중심의 기보법 관행을 벗 어나 새롭게 주체적으로 가곡창(歌曲唱) 선율을 독특한 형태의 기보 체계로 고안하여 표기한 것으로, 18C 옥소(玉所) 권섭(權燮, 1671~1759)의 『가보(歌譜)』 등 여러 악보가 전해진다. 수파형 악보의 기보체계는 기존의 기악 선율 중심인 육보나 합자보 등과 확연히 차별화된 기보법이다. 즉, 문자의 일정한 약속 체계를 바탕으로 하는 문자보가 아니라 선율의 흐름을 선과 그림의 단순한 형태로 제시하여 시각적(視覺的)ㆍ직관적(直觀的)으로 음악적 이해도를 높인 기보법이다. 이러한 수파형 악보는 18C 『가조별람』, 『시조』, 『시가』 등, 19C 『오희상금 보, 20C 초반 『학포금보』 등, 20C 중반 이정주의 『시조직해』, 정경태의 『증보주해』 선율선 시조보, 오복녀의 『서도소리』등 가곡과 시조, 민요 등의 악보에 지속해서 출현한다. 또한, 20C 등장한 선율선보는 기존의 수파형 악보에서 발견된 미비점을 보완하고 더욱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음악 정보를 직접적으로 지시하기 위해 종축의 열과 횡축의 행이 추가로 표기되어 완성도를 높였다. 따라서 18C 수파형 악보는 19C를 지나 20C 중반 전문 국악인의 악보에까 지 지속해서 출현하였고, 그 생명력이 연장되면서 명맥을 이어 나갔다. 현행 초ㆍ중등 음악 교과서에는 수파형 악보의 일종인 가락선보가 활용되는데, 가락선보 는 고악보의 수파형 악보에 비해 더욱 정확한 음높이와 시가, 가사, 시김새, 장단, 형식 등을 지시하기 위해 정교화하였다. 또한, 중등학교의 음악 교과서는 주제 선율의 가락선보를 동시 에 2~3개 기보하여 더욱 심화한 내용으로 구성하는 특징을 보이기도 한다. 한편, 가락선보는 음악 활동의 가창 영역에서 그 활용 빈도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가곡창 선율을 기보하기 위해 수파형 악보가 고안된 배경과 무관하지 않다. 즉, 다른 영역에 비해 가악 선율을 지도할 때 가락선보가 더욱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암묵적으로 인식하고 활용한 것이다. 브루너의 표상 이론에 따르면, 수파형 악보는 음높이, 선율의 흐름이나 진행, 배자법, 가사붙임새, 형식 등의 음악 현상을 선율선으로 나타내어 직관적인 이해도를 높인 시각화한 영상 양식으로, 상징화한 양식에 비해 학습적 이해도가 높은 편이다. 또한, 현대 서양 음악의 기보법은 기존 오선보의 기능이 절대적이지 않다는 인식으로 인해 새로운 도전의 일환으로 수파형 악보와 유사한 그래픽악보를 활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수파형 악보는 가창이나 감상, 창작, 기악 등 다양한 음악 영역의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교수ㆍ학습의 도구로 활용 가치를 지닌다. 나아가 시각화 악보인 수파형 악보를 통해 더욱 직관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국악의 기본적인 개념을 먼저 습득하고, 이후에 추상화ㆍ상징화 악보인 정간율자보를 통해 더욱 심화하고 복합적인 개념을 학습하도록 체계적인 단계로 악보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본다.

The Transitional Patterns of the Supa-type(水波形) Scor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Music Educational Utility

Jo, Eun-Su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ansitional aspects of the Supa-type scores of professional Korean musicia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mid-20th century, to analyze the presentational aspects of garakseonbo(melodic contour notation) for each area used in at the curren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usic education field, and to reveal the utility of Supa-type notation as a tool of music education. The Supa-type score was newly devised and written by the literati of the late Joseon Dynasty as a unique notation system for the melodies of gagok-chang(歌曲唱), breaking away from the practice of the general notation centered on documenting instrumental accompaniment melodies of gagok(歌曲). Several music scores in Supa-type notation including 『Gabo(歌譜)』 by Okso(玉所) Gwon-seop(權燮, 1671-1759) are handed down. The Supa-type score is a notation system that is distinctl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Yukbo(肉譜) and Hapjabo(合字譜) centered on instrumental melodies. In other words, it is not a score based on a regular system of letters, but rather a system that visually and intuitively enhances musical understanding by presenting the flow of melodies in simple forms of lines and paintings. This Supa-type notation continued to appear in the music scores of gagok(歌曲), sijo(時調), folk songs, such as 18C Gajobyeollam(歌調別覽), Sijo (詩調), and Siga(詩歌), 19C Ohuisanggeumbo(吳熙常琴譜), early 20C Hakpogeumbo(學圃琴譜), and mid-20C Sijojikhae(時調直解) by Lee Jeong-ju(李挺 舟), Jeungbojuhae Sunyulseon Sijobo(增補注解 旋律線 時調譜) by Jeong Gyeong- tae(鄭 坰兌), and Seodo(西道)-Sori by O Bok-nyeo(吳福女), etc. In addition, the notation of melodic line, which appeared in 20C, added columns of vertical and transverse axis to compensate for the deficiencies found in the existing Supa-type scores and to directly indicate more comprehensive music information, thus increasing the perfection. Therefore, the 18C Supa-type score continued to appear in the scores of professional Korean musicians in the middle of 20C, and continued its existence as its vitality was extended. The current elementary and middle music textbooks use garakseonbo, a kind of the Supa-type score, which has been refined to order more accurate pitch, length of notes, lyrics, sigimsae, rhythmic pattern, musical forms, and format compared to the old Supa-type scores. In addition, music textbooks in middle schools feature more in-depth contents by notating two or three garakseonbo of the theme melody at the same time. On the other hand, garakseonbo is most frequently used in the singing area of music activities, which is not irrelevant to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the Supa-type score to notate the melodies of gagok-chang. In other words, it implicitly recognizes that garakseonbo is more effective when teaching melodies of songs compared to other instructional areas. According to Bruner's theory, the modes of representation, the Supa-type score is a visualized image style that enhances intuitive understanding by representing musical phenomena such as pitch, melodic flow or progress, lyric form, lyric attachment, and musical forms as melodic line. It has a higher understanding of learning, compared to symbolized forms. Furthermore, modern Western music notation utilizes graphic notation similar to the Supa-type score as part of new challenges due to the perception that the function of existing staff notation is not absolute. Therefore, the Supa-type score is valuable as a basic tool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various music areas such as singing, appreciation, composition, and instrumental music. Furthermore, it would be desirable to systematically present learning materials of scores and notation by first introducing Korean music’s basic concepts based on more intuitive understanding through visualized Supa-type scores and then learning more advanced and complex concepts through the abstract and symbolic score Jeongganyuljabo(井間律字譜).

Download PDF list




 
[개인정보처리방침]
(06639) 서울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96 서울교육대학교 음악관 306호 / TEL. 02-3475-2486 / E-mail: sskme@hanmail.net
COPYRIGHT(C) 2007 The Society of Study for Korean Music Educ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