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논문검색



pISSN : 1976-3522 ㅣ eISSN : 2713-8119

국악교육연구,, Vol.14 no.2 (2020)
pp.299~326

DOI : 10.31177/SSKME.2020.14.2.09

조선후기 풍류문화의 음악교육적 접근 -역사·문화사적 배경을 중심으로-

임미선

(단국대학교 음악ㆍ예술대학 음악학부 국악전공 교수)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에서 다루어진 풍류는 가곡, 시조, 영산회상 이 주를 이룬다. 풍류의 다양한 악곡들 중 특정 갈래에 치중되어 있을 뿐 아니라 가창 또는 감상 영역에서 제재곡으로 활용한 사례가 적다. 풍류의 범주에서 다루는 경우도 있었지만, 풍류와 무관한 맥락에서 다루어진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런 까닭에 교과서에 실린 가곡, 시조, 영산회상 등에 대한 중층적인 이해가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더욱이 문화사적인 맥락에서 설명되어야 할 조선후기 음악에서 제시된 풍류관련 내용은 매우 간략하여 풍류의 발전양상 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본고는 중학교 음악교과서에서 다루어진 풍류관련 내용의 문제와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 는 조선후기 풍류 발달에 대한 내용을 역사· 문화사적 측면에서의 교육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를 위하여 먼저 풍류 발달의 배경을 역사· 문화사적 관점에서 논하고, 그 내용을 그 내용을 활용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풍류 발달이 가능했던 배경에 대해서는 풍류 향유층의 확대, 향유방식 변화, 담 당층의 확대 이상 세 가지 측면에서 논하였다. 4장에서는 조선후기 풍류의 발달에 대한 역사 ·문화사적 배경을 활용한 교육 방안을 다루었는데, 조선후기 풍류 향유층 확대의 내용 활용, 풍류방에 수용된 다양한 악기 내용의 활용, 다양한 레퍼토리 확장의 내용 활용, 풍류방의 사 회· 문화적 의미 활용 등의 측면에서 교육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Music Educational Approaches to the Pungryu Culture in the Late Joseon Period -Focused on Historical and Cultural History Backgrounds-

Lim, Mi-Sun

Pungryu covered in the middle school music textbook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mainly centers on gagok (songs based on traditional poetry in the Joseon Period), sijo (a Korean traditional poetic form that emerged in the Goryeo Period), and Yeongsanhoesan (a suite of instrumental pieces originated from Buddhist music.) Pungryu is not only focused on particular genres among various pungryu music but also barely utilized as in-class activity materials in the area of singing or music appreciation. While some contents were covered in the Pungryu category, there are quite a few cases found in the context irrelevant to Pungryu. Thus, it is impossible to have a multi-level understanding of gagok, sijo, and Yeongsanhoesan in the textbooks. Moreover, as the Pungryu-related contents in the late Joseon Period music, which should be explained in the context of cultural history, are so simpl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Pungryu in detail.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contents of Pungryu covered in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contents of the Pungryu development in the late Joseon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and cultural history. For this reason, the study aimed to discuss the backgrounds of the pungryu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and cultural history and present educational plans based on the contents. Chapter 3 discussed the background of the Pungryu development from three aspects: expansion of the population who enjoyed Pungryu, changes in styles of enjoyment, and expansion of the population responsible for Pungryu. Chapter 4 dealt with educational approaches to education plans based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history background of the Pungryu development in the late Joseon Period from the following perspectives: utiliz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extension of the population who enjoyed Pungryu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contents of various musical instruments accommodated to Pungryubang, the contents of various repertoires extension, and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of Pungryubang.

Download PDF list




 
[개인정보처리방침]
(06639) 서울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96 서울교육대학교 음악관 306호 / TEL. 02-3475-2486 / E-mail: sskme@hanmail.net
COPYRIGHT(C) 2007 The Society of Study for Korean Music Educ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