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논문검색



pISSN : 1976-3522 ㅣ eISSN : 2713-8119

국악교육연구,, Vol.14 no.2 (2020)
pp.39~80

DOI : 10.31177/SSKME.2020.14.2.02

초ㆍ중학교 민요 토리 교육의 위계화 양상

김민하

(국립공주대학교 연구교수)

본 연구는 민요교육의 체계화를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민요 토리 교육의 위계화에 대 해 문제의식을 가지고, 음악과 교육과정과 음악교과서를 바탕으로 학교급에 따른 위계화 양 상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과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민요교육과 관련된 내용은 지역 음악 어법의 본질 을 제대로 가르쳐야 한다는 방향성에 따라 개선되어 왔지만, 민요 토리 교육의 위계화를 위 해서는 별도의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ㆍ중학교급에서 다루는 민요 토리의 특징은 ‘토리의 지역 분포, 용어 및 구성음 제시, 가락 진행ㆍ시김새ㆍ 창법’에 관한 내용으로, 초ㆍ중학교급 간 기술 내용의 구체성이나 상세화 정도의 차이, 학습 내용의 추가 및 확대 등의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학교급별 민요 수록의 위계화 양상을 살펴본 결과 향토민요와 통속민요로 대별되는 초ㆍ중학교급별 차이, 경토리와 수심가토리의 유형에 따른 초ㆍ중학교급별 민요 활용의 차 이, 각 토리별 초ㆍ중학교급의 공통 수록곡의 양상, 중학교급으로 갈수록 다양한 장단과 여 러 지역의 민요를 활용하는 양상을 찾을 수 있었다. 넷째, 영역별 활동에 나타난 토리 교육의 위계화 양상을 살펴본 결과 토리 학습의 내용 요소와 활동 수준을 함께 고려하여 학교급별 위계화의 관점을 이끌어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토리 교육과 관련된 학교급별 활동 수준을 설정하고, 그 활동을 수행하는 데 필요 한 민요 제재곡과 내용 요소를 선별·제공해야 할 것이다. 민요 토리 교육의 위계화를 위해서는 토리 교육의 목표가 지역 음악 어법의 이해와 그 실 천 및 적용에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초ㆍ중학교급에서 민요의 지역별 특징을 어느 수준 까지 이해하게 할 것인지, 어떤 방법과 활동으로 체득하게 할 것인지의 세부 사항들을 논의 해 나가야 한다.

The Hierarchical Patterns of the Folk Song Tori Educ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Kim, Min-Ha

This study aimed to analyze hierarchical patterns of each school level based on the music curriculum and music textbooks, identifying some problems concerning the hierarchy of the folk music tori education, which is essential for the systematization of folk song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music curriculum revealed that contents regarding folk music education have been improved in line with the notion that the essence of local music grammar should be taught properly. However, there needs to be a separate discussion for the hierarchy of the folk song tori education.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lk song tori education covered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volve ‘regional distribution of tori, presentation of terms and constituent notes, and melody progression, the sigimsae, and singing styles.’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degree of concreteness or details of content description and addition and expansion of the learning contents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vels. Third, the result of examining the hierarchical aspects of folk songs by school level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ivision of local folk songs and popular folk songs and the utilization of folk songs according to types of Gyeongtori and Susimgatori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vel. There were a pattern of the inclusion of common songs for each tori for both school levels and a pattern for using various jangdan and folk songs from diverse regions at the time of advancing to the middle school level. Fourth,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hierarchical patterns of tori education in the activities of each area, the perspectives of school level-appropriate hierarchy should be elicited by considering content elements and activity levels of tori learning. From now on,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levels of activities related to tori education by each school level and provide the folk songs and content elements needed to conduct those activities. For the hierarchy of the folk song tori education, teachers must first keep in mind that the goal of tori education is to understand, practice, and apply the local music grammar and discuss the details of to what level teachers will help students underst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folk songs and through what methods and activities students will acquire them in each school level.

Download PDF list




 
[개인정보처리방침]
(06639) 서울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96 서울교육대학교 음악관 306호 / TEL. 02-3475-2486 / E-mail: sskme@hanmail.net
COPYRIGHT(C) 2007 The Society of Study for Korean Music Educ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