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논문검색



pISSN : 1976-3522 ㅣ eISSN : 2713-8119

국악교육연구,, Vol.13 no.1 (2019)
pp.161~198

DOI : 10.31177/SSKME.2019.13.1.06

2015 개정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한국음악사 수록 양상 및 개선방향 모색

한영숙

(한양대학교 겸임교수)

중학교 음악교과서는 한국음악사에 대한 내용을 모두 수록하고 있는데, 대부분 감상영역과 연계되어 있다. 이러한 내용이 각 시대를 특징짓는 음악적 사실을 이해하는 데 어느 정도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한국음악사의 내용을 면밀히 고찰한 연후에 문제점을 파악하고 실제 개선방향을 모색해 보았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음악교과서의 한국음악사 수록 양상은 상고시대의 제천의식, 고구려의 거문고와 백제의 기악무 및 신라의 가야금에 비중을 두었다. 또한 통일신라의 범패와 발해의 정효공주 벽화를, 그리고 고려의 연등회․팔관회와 함께 문묘제례악에 대한 내용을 비교적 많이 수록하였다. 조선 전기의 음악은 세종과 세조와 성종 등의 음악적 업적에 비중을 두었고, 후기의 음악은 주로 풍류음악과 민속음악을 중심으로 소개하였다. 이처럼 각 시기별로 일부의 음악과 악기 및 도상자료에 국한하여 그 내용을 명칭만 언급하거나 단편적으로 설명이 이루어졌는데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 또한 일부 음악교과서는 학생들에게 흥미와 이해를 돕기 위해서 만화로 제시한 의도는 좋았으나 내용이 너무 소략하여 한국음악사 전체의 흐름과 각 시대별 음악의 특징을 올바르게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한국음악사의 문제점은 시대구분의 부정확성과 용어에 대한 개념의 오류 또는 설명이 전무하다. 그리고 각 시대별로 음악적 내용의 결여이며, 명확한 도상자료의 소개와 적절한 활용이 부족하다. 아울러 음악기관과 음악인에 대한 소개가 부족하며, 음악사와 연계한 감상곡은 역사․문화적 맥락에서 활동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한국음악사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개선방향은 음악에 대하여 명칭만 제시하기 보다는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하다. 시대구분을 명확하게 소개해야 하며, 용어의 개념에 대한 정확한 의미 부여가 필요하다. 또한 각 시대의 고분벽화와 유물 및 의궤와 풍속화 등 도상자료를 적극 활용하여야 하며, 음악과 관련된 인물을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을 상세하게 제시해야 한다. 특히 감상활동은 역사․문화적 맥락에서 악곡을 이해하는데 비중을 두어야 한다. 음악교과서는 교수․학습의 기초 자료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 내용을 정확하게 소개해야 한다. 음악교과서의 한국음악사는 시대별로 음악적 사실을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수록하여 한 시대의 음악활동은 물론 역사의 흐름 속에서 어떠한 변화 양상이 나타나는지 올바르게 이해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Exploring the Content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the Korean Music History in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Following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Han, Young-Sook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include all the contents of Korean music history, most of which are linked to activities for music appreciation. It needs to be examined how these contents can help understand the musical contexts that characterize each period of Korean music history. Thus, this study closely examined the content of Korean music history presented in the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fterward, the study identified problems and sought a direction for improvement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aspects of the Korean music history included in the music textbooks give weight to the ancient rituals of Heaven, the geomungo of Goguryeo, the giakmu(伎樂舞) of Baekje and the gayageum of Silla. It also contains a relatively considerable amount of contents regarding beompae(梵唄: a genre of Buddhist ritual chants and songs) of the Unified Silla, murals in the mausoleum of Princess Jeonghyo of Balhae, Yeondeunghoe(燃燈會: a festival of lotus lanterns), Parlkwonhoe(八關會: a national religious festival), and Confucian ritual music at the Munmyo shrine of Goryeo. The contents for the early Joseon period focus on the musical achievements of Kings Sejong, Sejo, and Sungjong, while those of the late Joseon period focus on the pungnyu music and folk music. However, it is difficult to fully understand the historical context since most of the music textbooks only contain partial parts of music, musical instruments, iconographical materials, and figures from each period through a mere introduction of names and fragmentary explanations. Also, some of the music textbooks use a cartoon for educational purpose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and understanding. Although their intention is decent, the cartoon is limited to properly understand the whole flow of Korean music history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The problems of the Korean music history in the Music textbooks are identified as inaccuracy of periodization, conceptual errors in terminology, or absence of explanation. There are no sufficient contents about the music of each period, and a clear introduction of iconographical materials and proper utilization of the resources are lacking.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of influential figures in music and music institutes. There is almost no activity for appreciation of Korean music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To solve these problems, detailed supplementary explanations are required rather than simply presenting music terminology. In other words, distinct periodization should be suggested, and a precise meaning should be given to the concepts of terminology. Also, iconographical materials such as mural paintings in tumuli, artifacts, uigwe(儀軌: 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 and genre paintings should be actively utilized. Contents that help understand influential figures related to the music field should be presented. Activities for appreciation should particularly center on understanding musical pieces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Music textbooks are used as basic materials for teaching and learning, so they should introduce the contents accurately. Hence, this study emphasized that the contents of the Korean music history in music textbooks should represent musical information of each period in a more detailed and clear manner so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how musical aspects have changed in the course of history as well as the musical activities of each period.

Download PDF list




 
[개인정보처리방침]
(06639) 서울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96 서울교육대학교 음악관 306호 / TEL. 02-3475-2486 / E-mail: sskme@hanmail.net
COPYRIGHT(C) 2007 The Society of Study for Korean Music Educ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