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논문검색



pISSN : 1976-3522 ㅣ eISSN : 2713-8119

국악교육연구,, Vol.13 no.1 (2019)
pp.5~33

DOI : 10.31177/SSKME.2019.13.1.01

2015 개정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에 구현된 생활화 영역의 활동 유형 분석

김민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위촉))

성기련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예술학부 교수)

본 연구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교과서에 생활화 영역이 구현된 양상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 대상은 2015 개정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 9종이며, 생활화 영역의 내용 요소인 ‘음악과 행사’, ‘음악과 놀이’, ‘생활 속의 국악’과 관련된 활동을 추출하여 활동 유형을 분석하였으며, 앞으로 보완해 나가야 할 점을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과 행사’에 관한 활동은 가정 행사, 학교 행사, 사회 행사의 범주에서 ‘계획 및 준비 활동(52%), 행사 참여 활동(27%), 행사 참여 후 활동(21%)’의 세 가지 유형의 활동으로 분류되었다. 계획 및 준비 활동이 많이 구현된 반면, 행사 참여 및 참여 후 활동이 상대적으로 적게 구현된 결과를 통해 추후 학생들의 적극적인 행사 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서술 방식이 필요하며, 학생들의 수준에 적절한 행사 참여 활동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음악과 놀이’에 관한 활동은 ‘놀이 조사 활동(13.2%), 노래와 놀이의 통합적 활동(70.3%), 감상곡을 활용한 놀이 활동(2.2%), 느낌 발표 활동(14.3%)’의 네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이 밖에 놀이 조사 활동은 다양한 종류의 놀이에 사용된 음악에 관심을 갖게 하는 측면에서 구현되었으며, 감상곡을 활용한 놀이 활동은 포구락 놀이와 연계하여 구현되었다. 그러나 느낌 발표 활동은 성취기준에 명시되어 있음에도 활동 수가 적게 나타났으며, 각 교과서에 따라 활동의 차별성이 드러나지 않아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 ‘생활 속의 국악’에 관한 활동은 ‘국악 경험에 대한 공유 활동(5.8%), 타 영역 국악 학습의 확장 활동(23.1%), 국악의 쓰임과 역할 이해에 관한 활동(48.1%), 매체와 공간에 따른 국악 조사 활동(17.3%), 국악 활용 방법에 관한 활동(5.8%)’의 다섯 가지로 유형화 되었다.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음악의 활용’과 ‘음악을 즐기는 태도’를 생활화 영역의 핵심 개념으로 설정함에 따라 생활 속에서 어떻게 국악을 활용할 수 있게 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 역시 중요해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가정, 학교, 사회 속에서 국악을 향유할 수 있는 경험과 기회가 충분히 제공되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며, 학생들의 경험에 기초하여 해결해 나갈 수 있는 활동이 음악교과서에 구현되어야 할 것이다.

A Study on the Patterns of Activities of the Domain of Music in Daily Life Presented in the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by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Kim, Min-Ha

Sung, Ki-Ryu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nt of the domain of ‘music in daily life’ presented in the music textbooks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ised National Music Curriculum. The patterns of activities related to ‘music and events,’ ‘music and play’ and ‘Korean music in daily life,’ the components of the content in the domain of ‘music in daily life,’ were extracted from nine music textbooks for third and four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for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ctivities related to ‘music and ev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patterns: ‘planning and preparation’(52%), ‘event participation’(27%) and ‘post event participation’ (21%) under the categories of home events, school events and social events. Reflecting the result that the activity of ‘planning and preparation’ was well realized whereas the activity of ‘event participation’ and the activity of ‘post event participation’ were relatively less realized, there is a need for a narrative method that encourages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at events and a need for developing a program for event participation appropriate to the level of students. Secondly, activities related to ‘music and play’ were classified into four patterns: ‘play and exploration’(13.2%), ‘integrated activities of singing and play’(70.3%), ‘play using music for appreciation’(2.2%) and ‘presentation of students’ feelings and thoughts’ (14.3%). The activity of ‘play and exploration’ was realized in terms of promoting students to get interested in music used in various types of play. The activity of ‘play using music for appreciation’ was realized in link with Pogurak(抛毬樂). However, although the activity of ‘presentation of students’ feelings and thoughts‘ is clearly lis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the frequency of the activity was small and the differentiation of the activity for each textbook was not presented. These indicate a need for improvements for those specific areas. Thirdly, activities related to ‘Korean music in daily life’ were classified into five patterns: ‘sharing of Korean music experience’(5.8%), ‘expansion of Korean music learning in other fields’(23.1%), ‘understanding of the use and roles of Korean music’(48.1%), ‘research on Korean music by media and space’(17.3%) and ‘utilization of Korean music’(5.8%). As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has set ‘utilization of music’ and ‘attitude of enjoying music’ as the core concepts of the domain of ‘music in daily life’, the issue of how to make use of Korean music in our life has also become critical. In order to address this issue, students should be first provided with sufficient experience and opportunity to enjoy Korean music at home, schools and society. In addition, activities that can be performed based on students’ experiences should be included in music textbooks.

Download PDF list




 
[개인정보처리방침]
(06639) 서울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96 서울교육대학교 음악관 306호 / TEL. 02-3475-2486 / E-mail: sskme@hanmail.net
COPYRIGHT(C) 2007 The Society of Study for Korean Music Educ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