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논문검색



pISSN : 1976-3522 ㅣ eISSN : 2713-8119

국악교육연구,, Vol.11 no.1 (2017)
pp.173~199

<창부타령>을 통한 굿거리장단 교육 및 개선 방안

최상화

(중앙대학교 전통예술학부 교수)

이광훈

(중앙대학교 대학원 음악학과 박사수료)

본 연구는 한국전통장단의 대표적인 장단인 굿거리장단의 예시를 통해 음악교육에 있어 장단의 유래, 발전형태 등 음악사적 이해를 높여 창의적 학습 향상을 높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굿거리장단의 대표적인 민요인 경기민요 명창인 이춘희의 <창부타령>과 그 어원인 신현주가 부른 서울굿의 <창부타령>에 나타난 장구 장단 비교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굿거리장단의 용어에 대한 유래는 다양하나 대개 경기굿에서 쓰는 굿거리는 “굿을 걸게 쳐라”는 뜻의 유래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나, 여러 장르에서 다양한 리듬의 변형으로도 연주되고 있다. 둘째, 굿거리장단의 대표민요인 경기민요 <창부타령>은 서울굿 <창부타령>에서 발전되었으며, 사설의 내용은 경기민요 <창부타령>은 임을 그리워하는 내용의 가사로 이루어 져있으며, 서울굿 <창부타령>은 집안의 축원을 빌어주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각 노래의 성격을 의미하여 이러한 현상은 음악형식과 장단에 변화를 주었다. 셋째, 경기민요 <창부타령>은 3소박 4박자계 12/8의 굿거리장단을 사용하였으며, 서울굿 <창부타령>에서는 3소박 4박의 12/8 박자의 굿거리장단과 3소박 2박의 6/8박자의 반 굿거리장단이 사용된다. 이러한 이유는 두 음악이 추구하는 음악양식이 다르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굿거리장단의 어원과 유래를 살펴 본 결과 ‘우리가 일방적으로 교육하여 습득한 굿거리장단의 교육활동이 과연 올바른 것인가?’ 하는 의문점을 통해 공연 연행에 따라 달라지는 굿거리장단 구조를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장단교육의 보다 더 창의적 학습 활동의 이해와 관심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Gutguri Jangdan Education and Improvement Strategies through

Choi, Sang-Wha

Lee, Kwang-Hoon

This study aims to improve creative learning by raising historical understanding of Korean music such as the origin and developmental formation of jangdan (rhythmic patterns), particularly through an example of gutguri jangdan, one of the representative Korean traditional jangdan. To this end, the current study makes a comparison between the janggu jangdan of Lee Chun-hee’s Gyeonggi folk song and that of Sin Hyun-ju’s Seoul-gut , known as Gyeonggi folk song ’s origi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rigin of the term ‘gutguri’ is various, but it is generally known that the ‘gutguri’ used in Gyeonggi-gut is derived from the meaning of “perform gut on a grand scale.” It is also played by a variety of rhythmic variations among different genres. Secondly, Gyeonggi folk song , the representative folk song of gutguri jangdan, was developed from Seoul-gut . As for the content of lyrics/verses, Gyeonggi folk song tells a story of longing for a lover, whereas Seoul-gut tells a story of praying for peace in one’s family. The difference indicates each song’ character, and this phenomena has influenced the change of musical forms and rhythmic patterns. Thirdly, Gyeonggi folk song is played in 12/8 time, a four-beat structure subdivided into triple units, while Seoul-gut is played in the same 12/8 time, and 6/8 time, a two-beat structure subdivided into triple units (called semi-gutguri jangdan). This is attributed to the differences of music styles which each music pursues. After examining the etymology and origin of gutguri jangdan, the study poses a question of whether it is right to teach gutguri jangdan through unilateral educational activities. This reflection offers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gutguri jangdan which can be changed based on types of performances. It is believed that such research can raise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more creative learning activities of jangdan instruction.

Download PDF list




 
[개인정보처리방침]
(06639) 서울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96 서울교육대학교 음악관 306호 / TEL. 02-3475-2486 / E-mail: sskme@hanmail.net
COPYRIGHT(C) 2007 The Society of Study for Korean Music Educ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