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논문검색



pISSN : 1976-3522 ㅣ eISSN : 2713-8119

국악교육연구,, Vol.11 no.1 (2017)
pp.85~96

Memories of the Korean War -Nationalist Narrations by a “Human Treasure” in the Cold War-

Lee, Yong-Shik

(Chonnam National University)

본고는 한국사회에서 전통음악에 관한 국가적 후원과 전통음악인의 ‘공식적’ 기억 창조의 관계를 살핀 것이다 이 관계는 한국전쟁 이후 냉전체제의 부산물로 만들어진 것이다. 해방 이후 한국에서는 민족문화의 형성에 관한 수많은 논쟁이 생겼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국가는 이런 논쟁의 중심에 위치했고, ‘민족문화유산’으로서 전통문화를 정부 정통성을 위해 사용했다. 이를 통해 전통음악인은 민족문화 활동의 상징이 되었고, 이는 한국전쟁 와중에 위문공연 등을 통해 발현되었다. 본고에서는 해방 이후 전통음악인이 만드는 ‘공식적’ 기억의 창조 과정을 구술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특히 한국전쟁 와중에 인민군에 의해 납치되어서 위문공연 등에 참여했다가 이후 대한민국 사회에 정착한 음악인들은 한국전쟁 시기의 기억을 과장 또는 날조하는 경우가 많다. 본고에서는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예능보유자인 이윤란(예명; 이은주)의 구술사를 통해 이 과정을 밝힌다. 이윤란을 비롯한 많은 음악인들은 한국전쟁에 대해 유사한 기억을 공유한다. 이는 인민군에의 납치, 강요된 위문공연, 극적인 탈출, 전후 민족주의적 활동, 기독교로의 개종을 통한 주류 사회 합류이다. 이런 기억은 성공한 음악인들이 실제적인 사실을 극적으로 재구성한 ‘공식적’ 기억으로서, 냉전시대를 겪으면서 형성된 민족주의 담론의 결과물이다.

한국전쟁의 기억 : 냉전 시기 “인간문화재”의 민족주의 구술사

Lee, Yong-Shik

This paper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sponsorship of traditional Korean music and the creation of ‘official’ memory among traditional musicians in the Republic of Korea (ROK)-a relationship shaped by domestic Cold War politics. Between Korea’s independence from Japan and the foundation of the ROK (1945-48), debates on national culture revolved around notions of popular appeal.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ROK (1948), the state expropriated these debates, giving priority to legitimating so-called “cultural assets” that had been recognized by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and pressing select traditional musicians to become emblems of the nation through nationalistic activities, including placements in the army-base concerts during the Korean War. This state-derived enforcement helped to form a self-same national subjectivity, in addition to disassociating traditional music from lowbrow entertainment. I examine this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autobiographical narratives of traditional musicians, especially those who served the North’s People’s Army during the war and subsequently settled in the ROK. Their testimonials capture the pressure and contours of the nationalist discourse as they actively align with the state-enforced credentials. Particularly, I focus on Lee Yun-ran, a state-designated “human treasure.” According to her statements during my interview, she was abducted during the war by the People’s Army and forced to offer her musical talent for the communist party-activities that she describes with an exaggerated contempt. Her recollections represent themes common to similarly positioned musicians-abduction, forced musical labor, escape, postwar nationalistic activities, and Christian conversion-and provide a basis for gauging the contours of official memory.

Download PDF list




 
[개인정보처리방침]
(06639) 서울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96 서울교육대학교 음악관 306호 / TEL. 02-3475-2486 / E-mail: sskme@hanmail.net
COPYRIGHT(C) 2007 The Society of Study for Korean Music Educatio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