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검색
pISSN : 1976-3522 ㅣ eISSN : 2713-8119
국악교육연구,, Vol.18 no.2 (2024)
pp.135~169
2015 개정 ‘음악 감상과 비평’ 교과서 분석을 통한 국악 비평 활동의 질적 제고 방안 모색
본 연구는 2015 개정 고등학교 ‘음악 감상과 비평’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을 바탕으로 국악 비평 활동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질적 제고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 다. 국악 비평 주제, 교수ㆍ학습 방법, 교수ㆍ학습 자료 측면에서 국악 비평 활동의 질적 제고 방안을 제안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 비평 주제가 학생들의 비평적 안목 형성에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교육적 접근에 기초하여 국악 공연(연주) 비평, 음반 비평, 작품 비평, 인물 비평 등의 비평 대상에 따른 비평 주제를 구안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둘째, 국악의 가치 해석 및 평가에 요구 되는 상황 맥락(연행 맥락), 사회ㆍ문화적 맥락, 역사적 맥락, 음악 내적 맥락 등을 비평 활동 에 적용할 수 있는 관점과 전략의 제시, 국악 비평을 위한 토론 학습 모형의 개발 및 토론식 수업 방안 마련, 학생들이 작성한 국악 비평문의 창작물로서의 가치 부여, 비평문을 활용한 소통 중심의 수업 방법 구안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셋째, 국악 비평 활동에 요구되는 다양 한 읽기 자료의 발굴 및 재구성, 토론 활동의 효과적 지원을 위한 교수ㆍ학습 자료 개발을 제안하였다. 앞으로 국악 비평교육에 대한 후속 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내용을 구체화할 필요 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진로 선택 과목의 방향성에 부합하도록 심화되고 차별화 된 국악 비평교육을 제공해 나가야 할 것이다.
Qualitative Improvement Measures for Korean Music Criticism Activ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2015 Revised Textbook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ssues in Korean music criticism activities and propose qualitative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textbook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and its curriculum. The proposed measures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Korean music criticism activities in terms of criticism topic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sign criticism topics based on an educational approach that considers how these topics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tudents' critical perspectives. These topics should include critiques of Korean music performances, recordings, works, and notable figures. Second,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present perspectives and strategies that can apply various contexts - such as performance context, socio-cultural context, historical context, and internal musical context - to criticism activities. Additionally, it suggests the development of a discussion-based learning model for Korean music criticism, the creation of discussion-oriented teaching methods, the recognition of students' Korean music critiques as valuable creative works, and the design of communication-focused teaching methods utilizing these critiques. Third, it proposes the discovery and reorganization of diverse reading materials necessary for Korean music criticism activitie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o effectively support discussion activities. Further research on Korean music criticism education is needed to concretize the content proposed in this study. Based on this, it is essential to provide more advanced and differentiated Korean music criticism education that aligns with the direction of high school elective cour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