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검색
pISSN : 1976-3522 ㅣ eISSN : 2713-8119
국악교육연구,, Vol.18 no.2 (2024)
pp.29~63
사조체(四調體) 형성 배경에 관한 문헌적 고찰 및 교육적 활용방안 논의
본 연구에서는 사조체의 원류라 할 수 있는 남효온의 “현금부” 그리고 이를 수록하고 있는 『현금동문유기』의 내용을 살펴보면서 각조체격의 형성 배경을 분석해 보았다. 사조체는 악 조의 특징을 문학적으로 서술한 내용으로서 직서와 비유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서술된다. 사조 체의 원류는 남효온이 벗의 거문고 연주를 감상한 감흥을 정리한 악풍에서 비롯되었다. 이러 한 사조체는 사계절에 비유되었고 자연과의 연관성을 강조했다. 그 이유를 살펴보기 위하여 “현금부”, “답정평사서”의 내용 등을 분석해 본 결과 거문고와 역학의 상응 관계를 찾아볼 수 있었다. 역학은 곧 자연의 순환을 의미하므로 천원지방의 우주관을 내재한 거문고로 연주 하는 악곡의 악조도 계절을 내포하고 있어야 한다는 신념을 담은 것이다. 그러나 평조, 계면 조, 우조, 낙시조로 구성된 사조체는 평조에 낙시조의 개념이 흡수되면서 삼조체로 탈바꿈한 다. 삼조체는 오늘날까지 민속악 악조의 악풍 형성에 영향을 끼치고 있으므로 교육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를 들자면, 악조를 문학과 자연, 역법, 정서 등 다양한 맥락으로 사유(思 惟)했던 조상의 관점이 오늘날의 음악관에서 얻을 수 없는 통찰의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 다. 더구나 교과용 개발을 위한 편수자료에 삼조체(우조ㆍ평조ㆍ계면조)가 포함되어 있다. 따 라서 교육적 활용이 가능한 사례를 검토해 보면서 악조를 음악 교과와 연계하여 교육할 수 있도록 제시했다. 앞으로도 각조의 체격에 관한 음악학적 연구가 활성화되어서 악조 이론체계가 더욱 체계성 있게 형성됨과 동시에 교육 현장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지도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기 를 기대한다.
A Study on the Formation Background of the Sajo Style (四調體) and Discussion on its Educational Applica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 of Nam Hyo-on's “Hyeongeumbu,” which can be considered the origin of the sajo style (四調體: the four-mode style), and “Hyeongeumdongmunyugi (玄琴東文類記),” which contains this work, to analyze the formation background of each mode’s stylistic characteristics. The sajo style is a literary descrip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musical modes, narrated in various ways such as direct and metaphorical. The origin of the sajo style came from the musical style organized by Nam Hyo-on, inspired by listening to his friend's geomungo performance. This sajo style was likened to the four seasons and emphasized its connection with nature. To understand the reason, the contents of “Hyeongeumbu (玄琴賦)” and “Dapjeongpyeongsaseo (答鄭評 事書)” were analyzed.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a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geomungo and the I Ching (易學). The I Ching signifies the cycle of nature, thus embedding the belief that the musical modes played on the geomungo, which embodies the cosmic view of heaven being round and earth being square, should also contain the seasons. However, the sajo style composed of Pyeongjo, Gyemyeonjo, Ujo, and Naksijo, transforms into the samjo style (三調體: the three-mode style) as the concept of Naksijo is absorbed into Pyeongjo. The samjo style continues to influence the formation of traditional folk music modes to this day today, making its education necessary. This necessity arises from the perspective of ancestors who contemplated musical modes in various contexts such as literature, nature, and calendar systems, emotions, providing opportunities for insights unattainable from today's musical views. Additionally, the editing materials for curriculum development include the samjo style(Ujo, Pyeongjo, Gyemyeonjo). Therefore, linking musical modes with music education were suggested through reviewing cases where educational applications are possible.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musicological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yle will continue to be actively pursued, leading to a more systematic formation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musical modes, while also creating conditions for diverse teaching methods in educational settings.